재고자산
정상적인 영업과정에서 판매를 위하여 보유하거나
생산과정에 있는자산 및 생산 또는 서비스 제공과정에
투입될 원재료나 소모품형태로 존재하는 자산
◈ 재고자산의 수량결정방법 ◈
1. 실지재고조사법
1) 기말에 남아있는 실지재고를 조사하여 기말재고수량을 파악하는 방법
2) 재고자산의 입고만을 기록하고 출고기록은 하지 않는다.
(기초재고수량 + 당기매입수량) - 기말실지재고수량 = 당기판매수량
2. 계속기록법
1) 재고자산의 입고와 출고가 이루어질 때마다 장부에 계속적으로 그 사실을 기록
2) 기중판매량 및 재고수량을 장부에서 언제든지 파악할 수 있는 방법
기초재고수량 + 당기매입수량 - 당기판매수량 = 기말재고수량
3. 실지재고조사법 + 계속기록법 병행
장부상재고량과 실지재고량을 모두 알 수 있기에 보관 중에 발생한 재모감모량을 쉽게 파악가능
재모감모량 = 장부상 재고량 - 실지재고량
◈ 재고자산의 원가결정방법 ◈
1. 개별법
1) 재고자산의 매입상품별로 매입가격을 알 수 있도록 개별적으로 관리
2) 판매된 부분에 대한 원가와 기말에 남아있는 재고자산의 원가를 개별적으로 파악하여 매출원가와 기말재고액 결정
2. 선입선출법(FIFO: first-in, first-out)
실제물량의 흐름과는 관계없이 먼저 매입한 재고자산이 먼저 판매되는 것
3. 후입선출법(LIFO: last-in, first-out)
가장 최근에 매입한 재고자산부터 판매되는 것으로 가정
<선입선출법 VS 후입선출법>
선입선출법 |
후입선출법 |
일반적인 물량흐름과 일치 |
일반적인 물량흐름과 불일치 |
매출원가는 과거의 원가로 계상 |
매출원가는 현재의 원가로 계상 |
현재의 수익과 과거의 원가가 대응 → 수익과 비용대응 적절히 이루어지지 X |
현재의 수익과 현재의 원가가 대응 →수익과 비용대응 적절히 이루어짐 O |
물가상승시 순이익이 높게 계상 |
물가상승시 순이익 낮게 계상 |
Q. 선입선출법이 물가상승시 순이익이 높게 계상되는 이유?
맨 먼저 싸게 매입한 재고자산이 당기판매원가에 부과되어서 비용이 낮아지기때문에 이익이 높아진다.
4. 이동평균법
재고자산이 출고되는 시점에서의 평균단가로 매출원가와 기말재고액을 결정
☞ 이동평균단가
(매입직전의 재고액 + 금번의 매입액) ÷ (매입직전의 재고수량 + 금번의 매입수량)
☞ 매출원가
재고자산 판매량 * 이동평균단가
5.총평균법
당기에 판매된 재고자산은 모두 동일한 단가라는 가정하에 매출원가와 기말재고액 결정
☞ 총평균단가
(기초재고액 + 당기매입액) ÷ (기초재고수량 + 당기매입수량)
☞ 매출원가
재고자산 판매량 * 이동평균단가
'생생: 정보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부동산 인터넷 허위매물! 구분법(대처방법) (0) | 2014.02.06 |
---|---|
[전산회계1급, 전산회계2급 계정과목]비유동자산- 투자자산 종류 (0) | 2014.01.31 |
재고자산- 재고자산의 종류 및 취득원가측정 (0) | 2014.01.29 |
부채&비용 - 대손충당금, 대손상각비, 대손충당금 환입, 대손처리방법 (0) | 2014.01.26 |